본문 바로가기
패션 Fashion ★/복식디자인론 Theory of Fashion Design

복식디자인론 : 복식디자인의 본질 - 복식의 기능과 형태

by 디자이너 떙그리 2024. 9. 25.

3. 복식의 기능과 형태

기능과 형태는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복식의 기능과 형태와의 관계는 물리적 기능 만에 의한 형태의 결정이 아니라 표현적, 사회 심리적 기능 등을 합쳐 고려해야 하는 독특한 현상을 가진다. 1920년대 독일의 바우하우스 대학을 중심으로 일어난 기능주의(functionalism)에서는 모든 사물의 형태는 그 기능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물리적 기능만이 조형의 근본이고 목적에 방해되는 장식은 마땅히 제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복식에서는 기능주의의 주장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능주의에서 의미하는 기능은 복식에서 주로 도구적기능에 한정된다고 볼 수 있다.

 

복식디자인론 복식의 본질 복식의 기능과 형태

 

(1) 기능과 형태 관계의 다양성

복식 기능의 다양성을 이해해야 한다. 복식은 신체 보호, 쾌적감, 활동의 효율성이라는 물리적 기능 이외에 사회적, 상징적 커뮤니케이션, 개성의 표현 등의 사회 심리적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현대에는 재료와 기술의 발달로 물리적 기능은 거의 모든 제품에서 충족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심리적 기능이 더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복식에서는 기능적으로 보이는 것과 기능적인 것에 차이가 있다. 기능적으로 보인다고 해서 신체활동에 기능적이지 않을 수 있다. 기능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은 활동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미적 표현 방법 중 한 가지로 볼 수 있다.

복식의 종류에 따라 중요시하는 기능이 다르며, 기능에 따라 형태와 기능의 관계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기능에 의한 형태 결정이 복식의 물리적 기능에 근거하고,  동일한 기능의 다양한 형태는 복식의 사회적 기능에 근거한다. 또한 동일한 형태의 기능 변화는 복식의 표현적 기능에 근거한다.

 

기능에 의한 형태의 결정 : 물리적 기능 중심

신체 보호, 활동성, 쾌적감, 등이 중요한 기능으로 생각되는 복식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고, 보호와 활동성에 적합한 형태로 복식이 디자인된다. 물리적 기능이 중요시되는 복식은 물리적 기능에 맞추어 복식의 형태가 결정되는 것이다.

 

동일 기능의 다양한 형태 : 사회적 기능 중심

사회 규범에 따라 복식의 적합한 형태가 결정된다. 규범이 다른 사회에서는 기능이 같아도 형태는 다를 수 있다. 예로 혼례복은 동일한 기능의 복식이라도 형태는 문화권과 나라, 지역마다 크게 다르다. 

또한 한 사회 내에서 형태의 유연성이 있는 경우에도 동일 기능의 다양한 형태를 볼 수 있다. 통학복이라는 같은 개념을 가진 의복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 그 예시이다. 이처럼 동일한 기능을 가졌지만, 다양한 형태의 의복이 나타나는 이유는 복식의 사회적 기능 때문이다.

 

동일 형태의 기능변화 : 표현적 기능 중심

동일한 형태의 복식이지만, 착용자가 느끼는 심리적 욕구가 시간 따라 변화한다. 유행 주기 초기 단계에 있는 스타일은 착용자에게 새로운 상징적 기능과 심리적으로는 자기강화(self-enhancement)의 기능을 갖는다. 시간이 흐른 뒤에 착용자가 증가하는 유행의 중기 단계가 되면 유행의 초기 단계에 있던 기능을 잃고 동조의 욕구를 충족 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2) 추구 기능과 의복 형태

인간이 의복에서 추구하는 바는 복식의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적 만족은 복식의 물리적 기능의 향상을 통하여, 심리적 만족은 복식의 지위 표현 기능의 향상을 통하여, 신체 장식의 추구는 복식의 장식적 기능의 향상을 통해 충족한다.

레버(Laver)는 복식의 형태 결정에 숨겨진 힘이 작용했다고 설명한다. 숨겨진 힘으로는 미의 원리(attraction principle), 계급의 원리(hierarchical principle) 그리고 실용성의 원리(utility principle)가 있으며, 세 가지 힘은 시대와 민족을 넘어 작용하기 때문에 시대, 민족 간 복식의 공통점을 가져온다고 설명했다.

 

미의 원리 (attraction principle)

미의 원리에 따르면 복식은 착용자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표현하도록 형태가 결정된다. 대부분의 동물은 구애를 위한 아름다운 신체 부위를 발달시켜 왔다. 수컷이 암컷에 비해 이러한 부분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이러한 신체 부위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인간은 동물과는 다르게 의도적으로 꾸며진 외모를 가지며, 이유는 인간만이 갖는 사회심리 차원에서 알아보아야 한다. 레버(Laver)는 인간의 외모는 이성의 요구에 맞추어 결정된다고 보았다. 남성의 여성에 대한 평가가 외적 아름다움 이외의 다른 특성에 의하여 이루어질수록 여성의 복식은 장식성이 줄어든다. 

 

계급의 원리

계급의 원리에 따르면 복식은 착용자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도록 형태가 결정된다. 계급의 원리에 따라 형성된 복식의 형태는 아름다움보다 신분, 능력, 지위, 신뢰감 등이 추구된다. 정장이 이러한 형태의 대표적인 예이며, 정장의 신분 상징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착용되고 있다. 그 외로 의례의 중요성을 돋보이게 하는 표시의 기능도 함께 추구된다.

 

실용성의 원리

복식에서 실용성이 형태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경우는 역사적으로 매우 적다. 역사 속에서 17인치까지 조여진 허리와 가로 2m 이상에 달하는 크리놀린 등과 같이 실용성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복식의 형태를 매우 많이 볼 수 있다. 현대에도 마찬가지로 실용성과 거리가 아주 먼 복식의 형태를 많이 볼 수 있다. 실용성은 물리적 기능이 중시되는 운동복과 방한복같이 극한의 상황에서 착용하는 의복에서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미의 표현이나 계급의 표현이 실용성보다 중요시되므로 모피의 상징성이 보온성보다 중요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