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 Fashion ★/복식디자인론 Theory of Fashion Design

복식디자인론 : 복식디자인의 본질 - 복식 형태와 사회환경 (3)

by 디자이너 떙그리 2024. 9. 26.

(2) 기술적 발달

동물의 가죽은 안에 있는 지방을 제거하고 부드럽게 만들지 않으면 뻣뻣하고 사용하기 어렵다. 식물성 재료는 여러 과정을 거쳐야만 의복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자연에 있는 물질은 그대로 의복 재료로 활용될 수 없다. 인류는 의복에 적합한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계속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인류의 의생활은 끊임없는 재료의 개발, 개선과 함께 제작 기술, 제작을 위한 기계의 발달 등의 여러 가지 기술적인 진보와 함께 발전되어 왔다. 현대 복식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인 요인에는 의복 재료의 발달, 생산기술의 발달, 대중매체의 발달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의복 재료의 발달

한 시대의 복식을 조사하면 그 시대에 관해 알아낼 수 있는 사항들이 많다. 그중에서도 그 사회가 기술적으로 얼마나 발전된 사회였는지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재료의 발달 정도는 그 사회의 기술적 발달 단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합성섬유의 개발은 획기적인 기술적 진보였고, 기술의 진보는 후에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위한 밑거름이 되었다. 새로운 의복 재료가 등장하면 그 특성을 이용한 디자인이 유행하게 되는데, 나일론과 인조 모피의 개발과 유행 사례를 대표적인 예시로 들 수 있다. 현재에도 지속적인 섬유, 직조, 가공 기술의 발달로 신소재가 계속 개발되고 있고, 앞으로 우리의 의복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복식디자인론 복식의 본질 복식 형태와 사회환경

 

 

생산기술의 발달

생산기술 발달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되는 단계는 대량 생산기술의 발달이다. 의복의 대량생산은 산업혁명에 의한 직조 기술의 발달, 재봉틀의 발명, 합성섬유의 개발이라는 세 가지의 획기적인 기술적 발전이 배경이 되어 가능하게 되었다. 의복을 기계로 이용하여 대량으로 생산하게 되면서 큰 변화가 나타났다. 의복의 기성화는 의복 형태의 단순성(simplicity)과 획일성(uniformity)을 크게 만들었고, 의복의 대량소비를 가져와 의복을 통한 자기표현 욕구를 증가시켰다. 또한 유행의 변화 속도를 빠르게 하였다.

 

디자인의 단순화

복식 디자인의 단순화는 생산과정을 간소화시킴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인 대량생산의 특징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생산과정이 간소화되면 개인별 체형에 꼭 맞는 디자인의 생산이 불가능하게 된다. 서양의 여성복이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단순화된 데에는 여성들의 의식과 역할의 변화가 큰 원인이었으나, 대량생산의 발달도 중요한 원인이었다. 최근에는 섬유산업이 고도로 발달하여 직물의 종류, 색채, 무늬, 재질 등이 다양하게 생산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을 할 때도 디자인의 단순성이 보완되어 개인의 개성 추구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게 되었다.

 

디자인의 획일화

복식 디자인의 획일화 역시 대량생산의 큰 특징이다. 제품 생산을 위해 디자이너는 다양한 디자인을 제시한다. 그중 적합한 일부만이 고급 기성품 생산업체에 의해서 생산되고, 보다 저렴한 가격의 의복을 생산하는 업체에서 다시 몇 개의 디자인만을 선택하여 생산한다. 이런 이유로 디자인의 다양성은 제품의 가격이 내려갈수록 점차 줄어들게 된다. 일반 대중에게 전달되는 대량생산 제품의 형태는 상당히 획일화된다. 획일화는 사회 전반적으로 유행의 동조를 높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생산기술이 발전하고, 취향과 개성의 다양화로 소량 다품종 생산을 주로 하며 있다. 소비자의 개성에 대한 욕구와 차별되고자 하는 욕구가 심화되었기 때문에, 현재 디자인의 획일화 현상은 많이 감소하였고, 계속 감소하고 있다.

 

유행 변화 속도의 촉진

대량생산에 의한 대량소비 증가는 복식을 통한 자기표현의 욕구 증가와 유행 변화 속도의 촉진을 만들어낸다. 합성섬유가 개발됨에 따라 섬유 생산량이 증가하고, 대량 생산기술의 발달에 의해 의복 생산량이 증가한다. 그로 인해 한사람이 소유하는 의복의 수가 과거에 비하여 엄청나게 증가하게 되었다. 그 이유로 사람들은 의복의 신체 보호나 신분 표시의 기능보다 개성의 표현과 미의 표현의 기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소유하는 의복 수의 증가와 자기표현 욕구의 증가는 유행의 동조와 개성 추구를 모두 강화하여 유행의 변화 속도를 빠르게 한다. 현대인은 해지거나 작아지는 등 물리적 효용의 상실보다는, 유행이 지나거나 싫증과 같은 사회 심리적 효용 상실의 이유로 의복을 폐기한다. 현재의 유행 변화 속도가 과거에 비해서 현저하게 빠른 것은 기술의 발달로부터 비롯된 현상이다.

 

액세서리의 대형화

대량생산에 의한 복식의 몰개성화된 상품은 소비자의 자기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했다. 따라서 소비자는 상품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조합하고 변형하여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해 내거나, 개성표현의 수단으로 다양한 액세서리를 이용한다.

 

역문화 현상

1980년대 뉴 웨이브 헤어스타일은 기성문화에 대한 반발이며 자아의 과장된 표현이다. 이것을 역문화 현상이라고 한다. 사회 내에서 대량생산에 의해 획일화된 모습을 가진 대중이 되기를 거부하는 하위문화집단은 파격적이고 때로는 괴이하게 보이더라도 자아를 과장하여 표현한다.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이래로 댄디, 모즈, 히피, 펑크 등 역문화 현상을 보이는 하위문화집단의 등장이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컴퓨터를 의복의 생산에 도입하는 것은 의복 생산기술의 큰 도약을 이루게 했다. 컴퓨터는 직물, 의복 디자인에서부터 생산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했다. 생산성을 높일 뿐 아니라 소품종 대량생산체제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대량맞춤생산(Mass Customization)도 가능하게 되었다.

 

대중매체의 발달

신문, 잡지, 텔레비전, 영화, 비디오, 라디오 등과 같이 대중에게 어떤 사상과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를 대중매체(mass communication media)라고 부른다. 대중매체는 유행의 확산을 촉진한다. 또한 대중매체 보급의 증가는 세계 문화의 접촉과 복식 형태의 교류를 가져온다. 대중매체가 서로 교류되는 사회끼리는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복식 형태가 유사하다. 반대로 대중매체가 교류되지 않는 사회끼리는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어도 복식 형태의 차이가 있다. 

대중매체는 유행의 확산을 빠르게 하며, 유행의 지역 차를 줄여준다. 소비자는 유행 스타일에 대한 인식, 흥미, 평가, 채택 모든 단계에서 대중매체의 영향을 받는다. 각 지역의 문화적 특징보다 세계화된 유행이 나타나는 것은 인터넷의 영향이 크다.